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윤수민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한동훈 전 위원장과 원희룡 전 장관이 어제 만났어요.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 참 궁금한데요. 잠룡들의 뭔가요? <br><br>대화 주제, 동 앵커도 궁금하시죠? <br> <br>이번 만남은 원 전 장관이 먼저 제안했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두 사람, 서울대 법대 선후배 사이로 선거과정에서도 친분을 과시해왔죠. <br> <br>[한동훈 /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3월)]<br>"여러분, 저와 원희룡이 원패스로 뭉쳤습니다. 여러분, 우리는 돈도 권력도 모두 시민을 위해 씁니다."<br> <br>[한동훈 /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 위원장 (지난 2월)]<br>"나 이거 닭똥집! 나 이거 사줘요. 나 이거 사줘요. 돈이 없어 지금."<br> <br>[원희룡 / 전 국토부장관 (지난 2월)]<br>"2만원 어치."<br><br>Q. 그래서 무슨 대화를 나눴을까요? <br><br>직접 대화 내용을 알 순 없지만 평소 그들의 생각을 주변을 통해 취재를 해봤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겠죠. <br> <br>한 전 위원장은 대통령과의 거리가 멀어졌지만, 원 전 장관은 대통령, 한 전 위원장 포함해 보수가 '함께 가야 한다'는 생각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Q. 선거 패배에 대해서도 얘기를 나눴겠죠? <br><br>패배원인으로 이조심판론, 이재명-조국 심판론이 뜨겁죠.<br><br>한 전 위원장과 가까운 인사들은 불가피한 전략이었다며 옹호하죠. <br> <br>이재명 대표와 맞붙은 원 전 장관, 이조심판론은 불가피했지만 효과가 컸다고 보진 않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><br>Q. 생각이 같은 듯 조금씩 다를 수 있겠네요. 최대 관심사는 전당대회죠? <br><br>최근 나온 여론조사보면요. <br> <br>두 사람, 국민의힘 지지층을 대상으로, 당대표 적합도 나란히 상위권이었죠. <br><br>출마 여부까지 확정해 이야기하진 않았겠지만 전당대회과 관련한 의견은 나눈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어쨌든 친윤 색채가 옅은 차기 당권과 대권주자, 두 사람의 만남은 그 자체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홍준표 대구시장이랑 국회의장 후보로 나선 추미애 당선인이네요. 의외의 덕담? 무슨 얘긴가요? <br><br>홍 시장이 민주당 추미애 당선인에게 의외의 덕담을 했습니다. <br> <br>팬 사이트에서 추미애 당선인이 국회의장 후보로 나서는 걸 어떻게 생각 하냐는 질문을 받자, "국회의장 할 만하다"는 반전의 답을 한 겁니다. <br><br>Q. 강경파인 추 당선인이 국회의장이 된다면 여당으로선 만만치 않을 텐데, 의외의 답이네요? <br><br>두 사람, 나름 인연이 꽤 깊더라고요. <br><br>추 당선인이 대구 출신인데다 둘 다 사법연수원 14기고요. <br><br>2017년에는 나란히 여야 대표를 했죠. <br><br>[추미애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(2017년 7월)] <br>“국익을 위해서 좋은 파트너가 돼 주시고요." <br> <br>[홍준표 /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 (2017년 7월)] <br>"덕담해 주신 의미를 새겨듣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[추미애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(2017년 7월)] <br>"네, 하하하" <br> <br>[추미애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(2017년 7월)] <br>"우리가 서로 협치를 굳게 국민들 앞에 약속한다는 의미에서 팔짱 한번 끼실까요?" <br> <br>[추미애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(2017년 7월)] <br>"이렇게 좀 적극적으로… " <br><br>Q. 연수원 동기면 친할 법도 한데, 왜 이렇게 어색해요? <br><br>연수원 시절 같은 반이었지만 당시 홍 시장, 추 당선인이 미인이라 말도 못 건넸다고 합니다. <br><br>그래서 팔짱을 꼈을 때도 당황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><br>두 사람, 지난 대선 땐 나란히 여야의 대선 경선 후보였죠.<br> <br>당시 추 후보, 홍 후보에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. <br> <br>[추미애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 (2021년)]<br>"사법연수원 동기고요. 같은 반에서 수업을 했기 때문에 열심히 하셔서 야당의 후보가 되어주십시오. 제가 한번 붙어보겠습니다."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라인야후 사태 얘기인가 본데요. 윤석열 탓, 문재인 탓이요? <br><br>라인야후 사태를 두고 여야가 서로 전현직 대통령 탓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일본에 강하게 항의하지 않는 윤석열 대통령 탓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박찬대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오늘)]<br>"조선총독부나 할 법한 일을 대한민국 정부가 한다는 게, 상식적으로 말이나 되는 이야기입니까?"<br><br>조국 대표는 오늘 독도까지 찾아 윤 대통령을 탓했습니다. <br> <br>[조국 / 조국혁신당 대표 (오늘)] <br>"오히려 정보 영토를 빼앗긴 것 아닙니까? 혹시라도 라인 경영권이 일본 기업으로 넘어가면, 디지털 갑진국치로 불릴 것입니다. "<br> <br>Q. 그러면 반대로 여당은 문재인 전 대통령 탓을 하고 있는 거에요? <br><br>네, 문 전 대통령이 라인이 일본기업과 합병할 때 기여했다는 주장인데요. <br> <br>2019년 7월, 문 전 대통령이 일본의 손정의 회장과 청와대에서 회동을 했고, 그 때 라인야후 합병 얘기가 나왔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[신지호 / 전 의원 (오늘, 채널A 라디오쇼 '정치시그널')] <br>"(회동한) 그날 저녁에 성북동에서 이해진 네이버 의장하고 (손정의 회장이) 문재인 대통령의 주선으로 2시간 반 동안 회동을 가지게 되고… 라인하고 야후하고 합치자. 합병이 거기서. 그 산파의 역할을 한 게 문재인 대통령이에요." <br><br>Q. 라인야후 사태 계속 커지고 있는데, 이렇게 서로 탓만 해서는 안되겠죠. <br><br>대통령실은 일단 반일 조장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. <br> <br>[성태윤/ 대통령실 정책실장 (오늘)] <br>"일각의 반일을 조장하는 정치 프레임이 국익을 훼손하고 우리 기업을 보호하고 이해관계를 반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합니다."<br><br>지금은 네탓 공방 전에 국익부터 챙겨야 할 때 아닐까요. (국익부터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윤수민 기자·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김민수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ichannela.com